티스토리 뷰
안녕하세요
오늘은 보건증 재발급을 알아보겠습니다.
보건증을 모르는 사람도 있겠지만 음식을 다루는 곳에서 일을 한 적이 있는 사람이라면 보건증을 당연히 알고 있을 것입니다.
그만큼 음식을 다루는 곳에서 일하는 사람은 보건증을 가지고 있어야만 합니다.
이 보건증을 발급받는 것이 그렇게 어려운 것은 아니지만 유효기간이 있어서 꾸준히 재발급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보건증 재발급을 알아보겠습니다.
일단 보건증을 신청하면 약 일주일정도 지나면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발급 받은 보건증의 경우 유효기간이 1년이라서 1년이 되기 전에 미리 재발급을 받거나 1년이 지나서 새로 발급을 받으셔야 합니다.
분실의 경우에도 당연히 재발급을 받아야합니다.
보건증을 발급받는 방법은 자신의 집에서 가까운 보건소에 직접 방문하셔서 수수료를 내고 간단한 검사를 진행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만약 1년 이내에 재발급을 받는다면 보건소에서 따로 검사를 할 필요가 없으며 바로 발급을 받을 수 있습니다.
보건소에 직접 가셔서 발급을 할 수도 있지만 검사를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인터넷을 이용하여 보건증 재발급을 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네이버에서 공공보건포털을 검색하여 홈페이지로 들어갑니다.
그 다음 자주 찾는 메뉴에서 제증명 발급받기를 눌러줍니다.
제증명발급에 대한 내용을 확인하면서 스크롤을 내려보면 밑의 캡처 화면처럼 나올텐데요
가까운 보건기관을 찾아주신 후 자신의 이름과 주민등록번호를 입력하여 조회를 진행합니다.
물론 여기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공인인증서를 통한 인증 과정이 있으므로 공인인증서를 미리 준비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그 다음 제증명선택에서 건강진단결과서(보건증)을 선택해주시면 보건증을 빠르게 재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참고로 공유프린터를 이용하면 개인정보보안에 문제가 생길 수 있기 때문에 출력에 제한이 생길 수 있다고 합니다.
그러므로 개인 프린터를 이용하여 진행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지금까지 보건증 재발급을 알아봤습니다.
복잡하다는 생각이 들면 빠르게 보건소에 방문하시면 되겠습니다.